*자료형 : 자료의 형태
리스트(list)형
(숫자형, 소수점형, 문자형, 리스트형 등 다양한 형태의)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로 묶은 자료의 형태
*대괄호 사용
list = [‘사과’, ‘딸기’, ‘배’]
print(list)
결과는
[‘사과’, ‘딸기’, ‘배’]
빈 리스트
blank_list = []
print(blank_list)
결과
[]
2차원 리스트
list = [1, 2, 3, [4, 5]]
print(list[3][1])
5
list = [[1,2],[3,4]]
print(list[0][0])
print(list[1][1])
결과는
1
4
리스트의 인덱스
리스트의 순서(인덱스)는 첫번째(0번지)부터 시작!
*출력할 때 인덱스 번호를 써서 리스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출력할 수 있음
❗리스트의 인덱스가 -1이면 마지막 값을 의미한다
list[n-1] : n번째(n-1번지) 데이터
#0 #1 #2
list = [1,2,3]
print(list[-1])
print(list[0])
print(list[1])
print(list[2])
결과는
3
1
2
3
list[n:m] : n번지부터 m번지 직전까지(m-1번지까지) 데이터
#0 #1 #2 #3
list = [1,2,3,4]
print(list[1:3])
결과는
[2,3]
list[:m] : 0번지부터 m번지 직전까지(m-1번지까지) 데이터
#0 #1 #2 #3
list = [1,2,3,4]
print(list[:2])
결과는
[1,2]
list[n:] : n번지부터 리스트 마지막까지 데이터
#0 #1 #2 #3
list = [1,2,3,4]
print(list[1:])
결과는
[2,3,4]
리스트의 정보 확인
*메소드(클래스함수)활용
데이터의 인덱스 확인하기
리스트명.index(인덱스를 알고싶은 데이터)
#0 #1 #2
list = ['사과','딸기','배']
print(list.index('사과'))
결과는
0(인덱스)
리스트에 특정 값이 몇 개 있는지 확인하기
리스트명.count(개수를 알고싶은 값)
list = [1, 2, 1, 3]
list.count(1)
결과는
2(개)
삭제하고 싶은 값의 확인
list = [1, 2, 1, 3]
list.pop(2)
결과는
2(값)
리스트 값의 변경
리스트 안에 특정 값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기
list[변경하고 싶은 값의 인덱스] = 변경하고 싶은 값
#0 #1 #2
list = ['사과','딸기','배']
list[1] = '당근'
print(list)
결과는
['사과', '당근', '배']
리스트 안에 특정 값을 삭제하기(1)
리스트명.remove(삭제하고싶은 값) *같은 값이 여러 개일 경우, 제일 처음 것을 찾아서 먼저 지움!
list = [1, 2, 1, 3]
list.remove(1) #여기서 1은 데이터
#list.remove(list[0])
#list.remove(list[2])
print(list)
결과는
[2, 1, 3]
리스트 안에 특정 값을 삭제하기(2)
리스트명.pop(삭제하고싶은 값의 인덱스)
list = [1, 2, 1, 3]
list.pop(2) #여기서 2는 인덱스번호
print(list)
결과는
[1, 2, 3]
리스트의 변형
*메소드(클래스함수)활용
리스트에 데이터 추가하기(리스트의 끝에 순차적으로 추가됨)
리스트명.append(리스트에 추가하고 싶은 데이터)
list = []
list.append(1)
print(list)
결과는
[1]
❗ 실행횟수 만큼 값 추가됨
리스트 중간에 데이터 삽입하기
리스트명.insert(삽입할 위치 인덱스, 삽입할 데이터)
#0 #1 #2
list = [1,2,3]
list.insert(0,0)
print(list)
결과는
[0, 1, 2, 3]
두 개의 리스트 연결하기
리스트명.extend(붙일 리스트명)
a_list = [1,2,3,4]
b_list = [5,6,7,8]
a_list.extend(b_list)
print(a_list)
결과는
[1, 2, 3, 4, 5, 6, 7, 8]
리스트의 값
리스트의 정렬
오름차순 정렬하기
리스트명.sort() *오름차순이 기본설정
list = [1, 3, 2, 4]
list.sort()
print(list)
결과는
[1, 2, 3, 4]
내림차순 정렬하기
리스트명.sort(reverse=True) *내림차순이 역순
list = [1, 3, 2, 4]
list.sort(reverse=True) #True 대문자 주의!
print(list)
결과는
[4, 3, 2, 1]
'01. 파이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램의 기본 제어구조의 종류 (0) | 2022.06.12 |
---|---|
특정 값이 리스트나 문자열에 포함 여부 확인 - in, not in (0) | 2022.06.12 |
데이터의 유형/종류(type) (0) | 2022.06.12 |
문자형 또는 숫자형으로 바꾸는 함수 - int(), float(), str() (0) | 2022.06.12 |
입력이란? - input()함수 (0) | 2022.06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