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드비
코드비의 개발/데이터공부
코드비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53)
    • IT 사전 (16)
    • IT 뉴스 (3)
    • 알고리즘 문제풀이 (2)
    • 01. 파이썬 공부 (16)
    • 02. 웹크롤링 (2)
    • 03. SQL (5)
    • 생각기록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🐍파이썬 기본문법
  • 😺깃헙
  • 🖋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  • 내가 개발 공부를 시작한 이유

인기 글

태그

  • 개발자란
  • IDE
  • HDD
  • 백준
  • CPU
  • VirtualBox
  • 전원
  • 운영체제
  • 프로그래밍언어
  • 오라클
  • 메모리
  • 파이썬
  • SSD
  • 저장장치
  • 맥OS
  • python3
  • DB툴
  • 저수준언어
  • Android
  • SQL
  • ios
  • 컴퓨터
  • 고수준언어
  • 버추얼박스
  • c언어
  • 메인보드
  • 윈도우
  • Java
  • 가상컴퓨터
  • 데이터베이스툴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코드비

코드비의 개발/데이터공부

01. 파이썬 공부

자료형의 종류 - 리스트(list)

2022. 6. 12. 18:43

*자료형 : 자료의 형태

리스트(list)형

(숫자형, 소수점형, 문자형, 리스트형 등 다양한 형태의)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로 묶은 자료의 형태
*대괄호 사용

list = [‘사과’, ‘딸기’, ‘배’]
print(list)

결과는
[‘사과’, ‘딸기’, ‘배’]

빈 리스트
blank_list = []
print(blank_list)

결과
[]

2차원 리스트
list = [1, 2, 3, [4, 5]]
print(list[3][1])

5

list = [[1,2],[3,4]]
print(list[0][0])
print(list[1][1])

결과는
1
4

리스트의 인덱스

리스트의 순서(인덱스)는 첫번째(0번지)부터 시작!
*출력할 때 인덱스 번호를 써서 리스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출력할 수 있음
❗리스트의 인덱스가 -1이면 마지막 값을 의미한다

list[n-1] : n번째(n-1번지) 데이터
      #0 #1 #2
list = [1,2,3]
print(list[-1])
print(list[0])
print(list[1])
print(list[2])

결과는
3
1
2
3

list[n:m] : n번지부터 m번지 직전까지(m-1번지까지) 데이터
      #0 #1 #2 #3 
list = [1,2,3,4]
print(list[1:3])

결과는
[2,3]

list[:m] : 0번지부터 m번지 직전까지(m-1번지까지) 데이터
      #0 #1 #2 #3 
list = [1,2,3,4]
print(list[:2])

결과는
[1,2]

list[n:] : n번지부터 리스트 마지막까지 데이터
      #0 #1 #2 #3 
list = [1,2,3,4]
print(list[1:])

결과는
[2,3,4]

리스트의 정보 확인

*메소드(클래스함수)활용

데이터의 인덱스 확인하기

리스트명.index(인덱스를 알고싶은 데이터)

          #0     #1    #2
list = ['사과','딸기','배']
print(list.index('사과'))

결과는
0(인덱스)

리스트에 특정 값이 몇 개 있는지 확인하기

리스트명.count(개수를 알고싶은 값)

list = [1, 2, 1, 3]
list.count(1)

결과는
2(개)

삭제하고 싶은 값의 확인
list = [1, 2, 1, 3]
list.pop(2)

결과는
2(값)

리스트 값의 변경
리스트 안에 특정 값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기

list[변경하고 싶은 값의 인덱스] = 변경하고 싶은 값

          #0     #1    #2
list = ['사과','딸기','배']
list[1] = '당근'
print(list)

결과는
['사과', '당근', '배']

리스트 안에 특정 값을 삭제하기(1)

리스트명.remove(삭제하고싶은 값) *같은 값이 여러 개일 경우, 제일 처음 것을 찾아서 먼저 지움!

list = [1, 2, 1, 3]
list.remove(1) #여기서 1은 데이터
#list.remove(list[0]) 
#list.remove(list[2]) 
print(list)

결과는
[2, 1, 3]

리스트 안에 특정 값을 삭제하기(2)

리스트명.pop(삭제하고싶은 값의 인덱스)

list = [1, 2, 1, 3]
list.pop(2) #여기서 2는 인덱스번호
print(list)

결과는
[1, 2, 3]

리스트의 변형

*메소드(클래스함수)활용

리스트에 데이터 추가하기(리스트의 끝에 순차적으로 추가됨)

리스트명.append(리스트에 추가하고 싶은 데이터)

list = []
list.append(1)
print(list)

결과는
[1]
❗ 실행횟수 만큼 값 추가됨

리스트 중간에 데이터 삽입하기

리스트명.insert(삽입할 위치 인덱스, 삽입할 데이터)

      #0 #1 #2 
list = [1,2,3]
list.insert(0,0)
print(list)

결과는
[0, 1, 2, 3]

두 개의 리스트 연결하기

리스트명.extend(붙일 리스트명)

a_list = [1,2,3,4]
b_list = [5,6,7,8]
a_list.extend(b_list)
print(a_list)

결과는
[1, 2, 3, 4, 5, 6, 7, 8]
리스트의 값

리스트의 정렬
오름차순 정렬하기

리스트명.sort() *오름차순이 기본설정

list = [1, 3, 2, 4]
list.sort()
print(list)

결과는
[1, 2, 3, 4]

내림차순 정렬하기

리스트명.sort(reverse=True) *내림차순이 역순

list = [1, 3, 2, 4]
list.sort(reverse=True) #True 대문자 주의!
print(list)

결과는
[4, 3, 2, 1]

'01. 파이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프로그램의 기본 제어구조의 종류  (0) 2022.06.12
특정 값이 리스트나 문자열에 포함 여부 확인 - in, not in  (0) 2022.06.12
데이터의 유형/종류(type)  (0) 2022.06.12
문자형 또는 숫자형으로 바꾸는 함수 - int(), float(), str()  (0) 2022.06.12
입력이란? - input()함수  (0) 2022.06.12
    코드비
    코드비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