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

프로그램의 기본 제어구조의 종류
순서도란? 워크플로(workflow) 혹은 프로세스(process)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의 한 종류 여러 종류의 상자와 이를 이어주는 화살표를 이용해 주어진 문제에 대한 솔루션 모델을 보여준다 순차구조 : 명령이 나열된대로 순차적 실행, 루틴 선택구조(분기구조) : 선택 - if문 반복구조 : 특정 명령을 반복 - for문 - while문 건너뜀 구조 : 프로그램의 흐름을 도중에 건너뛰거나 중단 - break - continue 이미지 출처 : https://u-n-joe.tistory.com/233
특정 값이 리스트나 문자열에 포함 여부 확인 - in, not in
특정 값이 리스트에 있는지 확인 list = [1, 2, 3, 4] print(5 in list) 결과는 false 특정 값이 리스트에 없는지 확인 list = [1, 2, 3, 4] print(5 not in list) 결과는 true 특정 값이 문자열에 있는지 확인 str = "python" print("P" in str) 결과는 false 특정 값이 리스트에 없는지 확인 str = "python" print("P" not in str) 결과는 true
자료형의 종류 - 리스트(list)
*자료형 : 자료의 형태 리스트(list)형 (숫자형, 소수점형, 문자형, 리스트형 등 다양한 형태의)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로 묶은 자료의 형태 *대괄호 사용 list = [‘사과’, ‘딸기’, ‘배’] print(list) 결과는 [‘사과’, ‘딸기’, ‘배’] 빈 리스트 blank_list = [] print(blank_list) 결과 [] 2차원 리스트 list = [1, 2, 3, [4, 5]] print(list[3][1]) 5 list = [[1,2],[3,4]] print(list[0][0]) print(list[1][1]) 결과는 1 4 리스트의 인덱스 리스트의 순서(인덱스)는 첫번째(0번지)부터 시작! *출력할 때 인덱스 번호를 써서 리스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출력할 수 있음 ..
데이터의 유형/종류(type)
bool : True, False 참거짓형 int : 정수형 float : 실수형 str : 문자형 *type()함수로 확인 가능
문자형 또는 숫자형으로 바꾸는 함수 - int(), float(), str()
문자형 숫자 ‘1’ - a=‘1’ b=‘2’ print(a+b) 결과는 ‘12’ 정수형 숫자 1 - a=1 b=2 print(a+b) 결과는 3 ! 문자형 숫자와 숫자형 숫자는 더할 수 없다 a=1 b=‘2’ print(a+b) 결과는 (typeerror발생) 문자형을 정수형으로 바꾸기 int() x=int(‘1’) print(x) 결과는 숫자형 1 숫자형을 문자형으로 바꾸기 str() x=str(1) print(x) 결과는 문자형 ‘1’ 문자나 정수형을 소수점형/실수형으로 바꾸기 float() x=str(1) print(x) 결과는 소수점형 1.0 ❗️정수형과 소수점형은 모두 숫자형이라서 연산 가능!